-
목차
경계성 지능장애는 경계성 지적 기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원인도 모른 채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계성 지적 기능을 가진 사람들이 학습, 취업,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문제는 주목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1. 경계성 지능장애란?
경계성 지능장애는 웩슬러지능검사 기준으로 그 지수가 70~79점이거나, DSM기준 71~84점으로 지적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경계선 상태를 말합니다. 즉 지적장애인은 아니지만 평균적 사람보다는 낮은 지능지수를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인 것입니다.
2. 경계성 지능장애의 특징
경계성 지능장애는 지적 장애(IQ 70 미만)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학습·사회생활·직업 적응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인지 기능, 학습 능력, 사회성, 감정 조절, 직업 적응 등에서 여러 특징을 보입니다.
첫번째 . 인지적(지적) 특징
경계성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인 지능을 가진 사람들보다 정보 처리 속도가 느리고,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 추상적 사고 부족: 단순한 개념은 이해할 수 있지만, 논리적 사고나 추상적 개념(예: 비유, 상징, 은유 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문제 해결 능력 저하: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새로운 문제를 접하면 해결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 기억력 문제: 단기 기억(즉각적인 정보 유지)은 상대적으로 괜찮지만, 장기 기억(오래된 정보 유지 및 활용)이 약함
- 집중력 부족: 오랜 시간 집중하는 것이 어렵고, 주의가 쉽게 산만해짐
두 번째. 학습 능력의 한계
경계성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인 교육 과정을 따라가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지원받기 어려움
- 학습 속도가 느림: 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학습해야 이해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학습 방식으로는 효과적으로 배우기 어려움
- 읽기·쓰기 어려움: 문장은 읽을 수 있지만, 긴 글을 이해하거나 핵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움
- 학습 동기 부족: 학업 성취도가 낮아 자신감을 잃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음
- 시험 성적이 낮음: 암기식 학습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문제를 응용하거나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
세 번째. 사회적·정서적 특징
경계성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관계에서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 사회적 신호 이해 부족: 눈치가 부족하고, 상대방의 감정이나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함
- 감정 조절 문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쉽게 좌절하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많음
- 자존감 저하: 학습·취업 등에서 반복적으로 실패를 경험하며, 자신감이 낮고 위축되기 쉬움
- 사회적 고립: 또래 관계에서 오해를 받거나 적응하기 어려워 외로움을 자주 느낌
네 번째. 직업 및 일상생활 적응 문제
경계성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단순한 일상 업무는 가능하지만, 복잡한 상황에서 판단을 내려야 하는 업무에는 어려움을 겪음
- 반복적이고 익숙한 일은 잘 수행하지만, 새로운 업무를 배우는 속도가 느림
-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시간 관리가 어려움
-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어려워, 중요한 업무를 놓치는 경우가 많음
-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 직장에서의 적응이 어려울 수 있음
다섯 번째. 정신 건강 문제 위험성 증가
경계성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지적 장애로 인정받지 못하면서도, 사회적으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음
- 우울증 및 불안 장애 위험 증가: 학업·취업·대인관계에서 반복적인 실패를 경험하면서, 자신감을 잃고 우울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음
- 충동 조절 문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음
- 스트레스 관리 능력 부족: 어려운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쉽게 좌절하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고려할 가능성이 있음
3. 경계성 지능장애의 원인
경계성 지능장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요인을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 유전적 요인
- 출생 전후의 건강 문제(저산소증, 조산 등)
- 환경적 요인(빈곤, 교육 기회 부족, 정서적 방임 등)
4. 경계성 지능장애 테스트
경계성 지능장애 테스트는 정확한 IQ 검사가 필수 적이며 지능검사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웩슬러 지능검사: 이 검사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화된 IQ검사로 성인용(16세 이상), 아동용(6~16세)이 있습니다.
검색창에서 '경계성 지능장에 테스트'를 찾아보시면 간편하게 하실수 있습니다.
한국형 카우프만 지능검사: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으로 진행되며,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을 중점으로 평가합니다.
한국형 레이븐 검사: 패턴과 도형인식을 통해 지능을 측정하는 비언어적 검사로 언어능력이 부족한 사람에게 적절한 검사입니다.
이러한 지능검사 외에데 적응기능평가나 추가 검사등을 함께 하는 것이 좋으며, 아래와 같이 검사받으실 수 있는 곳에서 정확하게 검사를 받으시고 결과에 따른 적절한 맞춤형 지원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기관: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소아청소년 정신과, 종합심리검사 센터 (심리상담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중·고등학생 대상)'알.고.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알아보고 신청해 보세요~ (0) 2025.04.06 복지로 맞춤형급여안내 (복지멤버십) 알고 신청해 보자~ (0) 2025.04.05 고혈압, 당뇨병도 지원 받을 수 있다고요? (0) 2025.04.03 2025년 노인 기초연금 자격 및 신청 (0) 2025.04.01 2025년 고령자 고용지원금 자격 및 신청방법 (0) 2025.04.01